본문 바로가기

US politics

문재인 대통령 訪美 한미정상회담 총결산 (4) 한국전쟁영웅 훈장수여는 바이든이 文에 '상징적' 경고 (5) 삼성-모더나 백신 계약 '속빈 강정'

728x90
반응형



문재인 대통령 訪美(5.19~5.23) 한미정상회담 총결산


(1)<프롤로그> 文 AZ - 바이든 화이자 : 애초부터 만날 수 없었던 두 남자의 '만남의 조건' 충돌
(2)美의 '쿼드' 원칙과 문재인 정권의 가치관 붕괴
(3)미사일 지침 800km 해제는 바이든이 文에 던져준 '독이 든 성배'
(4)한국전쟁(6.25) 영웅(퍼켓 예비역 대령)의 등장(명예훈장수여)은 文에 대한 바이든의 통렬하고도 짖궂은 경고
(5)<에필로그> 문재인에 별로 얻은 게 없는 평점 'C 마이너스'의 돈조코(どん底 : 구렁텅이)외교
-- 삼성-모더나 백신 위탁생산계약은 실질적 백신확보 아닌 '속빈 강정'
-- 55만명 백신 얻은 게 자랑인가?(일본은 5천만명=1억회) 한국 국민들에게 뼈있는 숨은 메시지를 전달한 바이든의 노회한 외교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5월 21일(현지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개최된 명예훈장 수여식에서 훈장을 받은 랄프 퍼켓 예비역 대령과 기념촬영.
5월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삼성-모더나 백신 위탁 생산 계약(MOU)이 체결되고 있다. 왼쪽부터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4) 한국전쟁영웅에 대한 명예훈장 수여는 바이든이 文에 보여준 '상징적' 경고


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기간 중 文을 백악관 이스트룸으로 불러 놓고, 거기서 한국전쟁(6.25)의 전쟁영웅인 랄프 퍼켓 예비역 대좌(大佐=대령)에게 명예훈장을 수여했습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 보십시다. 한국전의 영웅이 어디 한두명입니까? 그 수많은 한국전의 영웅들 중 왜 하필 퍼켓입니까?

그것은 바로 퍼켓이 '중공군'과 맞서 싸운 상징적인 인물이었기 때문입니다. '중공군'의 진격을 막은 용감한 미군의 상징적인 이미지를 퍼켓이 갖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문재인 대통령의 면전에서 '중공 파이터' 퍼켓에게 '꽃무대'를 장식해 준 것은, 文에게 던져준 바이든의 일종의 통렬한 메시지였습니다.

우리는 과거에 너희 한국땅에서 중공과 싸웠고, 지금도 중국과 세계주도권을 놓고 대결하고 있으니, 이제 그만 고집부리고 우리편으로 돌아오라는 메시지였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시 말하면, 이제 우리 뜻을 알았으면 여태껏 중국에 올인하는 듯한 '친중노선'에서 돌아서서 빨 리 우리 쪽으로 돌아오라는 바이든의 文에 대한 경고였던 것입니다.

퍼켓 예비역 대좌에의 훈장수여는 저런 미국의 뜻을 바로 코앞에서 文정권에게 전달하기 위한 퍼포먼스였던 것으로 보면 됩니다.

요컨대 저 훈장수여 퍼포먼스는 중국으로부터 벗어나 얼른 '쿼드'에 들어오라는 미국의 재촉일 수 있겠습니다. 文정권이 '쿼드'에 가입하지 않으면 더이상 文정권과 대화하지 않겠다는 바이든 정부의 복선이 깔린 이벤트로 볼 수도 있지요.

  실지로 바이든 대통령은 5월 30~31일 이틀간 서울에서 열리는 2021 P4G Summit(녹색미래 정상회의)에의 참가 거부를 통보해 왔습니다. 지난 21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님께서 다음 주 P4G 서울 정상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하시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힌 바 있었는데, 文에게는 이게 또 무슨 망신이란 말입니까? ㅎ~!

  

저런 바이든의  '하라-노-우치(腹の内 : 뱃속, 가슴속, 속뜻, 의중)'를 과연 알기나 하고 文은 훈장수여 식전에서 그렇게 '실실' 웃고만 있었던 것인지, 정말 그 수준이 우려가 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文이 바이든의 '하라노우치'를 눈치챘다고 해도 文에게는 정책결정의 결정권이 없는 것으로 보여지니 첩첩산중이겠습니다. 결정권은 文의 지지세력(백낙청, 백기완=死亡, 한완상 등 원로그룹과 임종석, 이인영, 윤건영 등 주사파 출신 좌파인사들)에 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그들 지지세력의 뜻대로 친중(親中)ㆍ좌파노선이 계속된다면, 내년 대선으로 정권이 바뀔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들이 아무리 발버둥쳐 봤자, 이미 종 친 무대, 결국 무대를 떠나는 길밖에 없을 것입니다.



(5) 삼성-모더나 백신 위탁생산계약은 실질적 백신확보 아닌 '속빈 강정'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방미 기간 중에 한미 '백신 스와프'도 물건너 보내며 한미 백신파트너십 구축에 실패한 감(勘)이 있습니다.


요컨대 코로나19 백신의 실질적 물량확보에 진전이 없었던 것입니다. 日 스가(菅) 수상은 4월 방미에서 화이자 백신 1억회 분을 확보했는데,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방미에서 고작 55만명의 분의 백신을 얻어오는 데 그쳤습니다.

숫자는 정직하니 구차한 다른 변명은 하지 않는 게 좋을 겁니다. 문재인 정권은 백신 확보에 실패한 이 사실을 카무플라주(camouflage)하기 위해 삼성-모더나의 백신 위탁생산 계약(MOU)체결을 한껏 띄우고 있으나, 이 삼성-모더나 위탁생산 MOU도 따지고 보면 그다지 큰 결실을 기대하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모더나 측은 물론 백신기술을 갖고 있고, 삼성은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고 생산능력이 있으니, 3분기(제3 四半期=7~9월)에 수억회 분을 생산하는 일은 가능한 일로 보여집니다.

모더나 백신


그러나 이 일은 모더나 사(社)가 한국공장을 빌려, 즉 삼성의 기존생산시설을 이용하여(가동시켜)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생산된 백신을 어느나라에 얼만큼 배분(공급)하느냐는, 우선 모더나 측의 결정하기에 달렸습니다. 즉 우리나라 안에서 생산된다고 하여 제일 먼저 우리나라에 배급된다고 보기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삼성 바이오로직스(삼바)

이제, 이번 文의 방미의 결과, 우리나라가 백신확보에 있어 실질적 성과를 올리지 못했다는 사실에 '기가 쯔쿠 데쇼(気が付くでしょう: 동조하게 되셨지요)?'

文정권이 백신의 충분한 물량확보를 못했다는 의미입니다. 결론적으로 말해, 실질적 성과 없이, 그다지 큰 결실 없이, 文의 이번 방미와 한미정상회담은 끝이 났습니다.

文대통령은 이제는 이번 방미의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조국 같은 사람들에게 연민하는 시간이나 줄이면서, 앞으로나 백신확보에 힘을 써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偉い口じゃ~!ㅎ)

<벡크의 잠깐 일언> 조국 자서전(회고록)이 6월 1일을 기해 전국 온-오프라인 서점을 통해 릴리스된다고 합니다. (조국이 5월 27일 자기 폐이스북을 통해 알렸습니다.) 온라인 결제에 의한 예약판매가 이뤄져 곧바로 베스트셀러가 됐다고 하네요.

조국 자서전 '조국의 시간'


이 책의 '캐치 카피'는 "가족의 피에 펜을 찍어 써내려간 고백서" "불씨는 아직 꺼지지 않았다" 등이라 합니다. 조국이 한밤을 지새며 갈고 닦은 원한을 불 태우면서 '피의 복수'로 나아가겠다는 모양새입니다. 그야말로 '불꽃 남자(炎の男)' 같습니다 그려!

참 여러 질(質)이고 누구(진중권) 말대로 "가지가지 하고" 있군요. '사회주의자 조국'이 꿈꾸고 있는 사회는 도대체 어떤 것일까요?

그러나 그렇게까지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그는 '패션 진보'로서 탐욕에 찌든 '장사꾼 진보'였으까요. 아니 그는 물신주의(物神主義)에 사로잡힌 '타락한' 자본주의자였습니다. 변명(弁明)하지 마세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