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딥시크(DeepSeek)는 제2의 스푸트니크 충격? 그러나 데이터 부정이용과 멜웨어 작성 등의 의혹 증폭시키는 중국 딥시크에 대해 각국이 안전보장 상의 문제로 이용금지!

중국의 생성AI(인공지능)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美 오픈AI의 데이터를 부정이용한 의혹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미 블룸버그 통신이 1월 28일 보도했습니다.
오픈AI는, 제휴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社)와 그리고 美 정부와 연계하여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2024년말부터 25년 1월에 걸쳐, 오픈AI의「Chat GPT」에 필적하는 성능을 가진 복수의 대규모 언어모델을 단기간에 저(低)코스트로 개발했다고 공표했습니다.
이 뉴스로 인해, 첨단기술분야에 있어 미 테크롤로지 업계의 우위성이 흔들렸고, 미 주가는 큰 폭으로 떨어져 버렸습니다.
딥시크는 고도의 생성(生成)AI의 개발에 있어, 누구라도 이용가능한 오픈 소스로서 공개되어 있던 기존의 AI모델을 가져다가「선생역(役)」으로 삼고, 그 입력과 출력의 데이터를 새로운 AI모델의 학습에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수법은, 혼합물로부터 순도가 높은 성분을 추출하는 화학(化学)의 프로세스에 비견되어 「증류(蒸留)」라고 불립니다.
중국의 딥시크는 실제로는 오픈 소스의 AI모델 만이 아니라, 외부에는 공개되어 있지 않은 오픈AI의 대규모 언어모델을, 자기들의 생성AI의 학습에 사용한 의혹을 사고 있습니다.
오픈AI가 외부 어플과의 데이터 교환에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라고 불리는 장치가, 중국의 딥시크에 악용당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1월 28일, 마이크로소프트사(社)가 24년 가을, 중국의 딥시크에 관계하는 자(者)로 보여지는 인물이 오픈AI의 대규모 언어모델과 외부 어플을 연결하는 API의 기능을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훔쳐간 것을 발견, 동사(同社 : Open AI)에 알려줬다,고 보도했습니다.
오픈AI는 자사제품의 이용규약 속에서, 증류(蒸留)를 금지하고 있고, 자사의 생성AI(즉 챗 GPT)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경합하는 AI모델(즉 중국의 딥시크 같은 것)을 개발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딥시크는 이 규약을 위반한 가능성이 큽니다. 기존의 AI모델을 부정하게 모방하는 행위는 기술의 도용에 해당됩니다. 실로 공포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트럼프 美 정권에서 AI와 암호자산을 담당하는 고관으로 저명한 벤처투자가인 데이비드 삭스 씨는, 1월 28일, 미 폭스(FOX)뉴스와의 인터뷰 중에서, 딥시크가 오픈AI의 모델을 도용한「상당한 증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삭스 씨는「오픈AI는 그것을 안 좋게 생각할 것이다. 미국의 AI기업은 증류(蒸留)를 막는 조치를 취하고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美 주요 기업이 제3자에 의한 증류를 막는 일을 할 수 있으면, 모방자의 모델(의 개발)을 늦추게 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오픈AI는 1월 28일,「미국의 기술을 빼어가려는 시도를 막기 위하여, 미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코멘트를 했습니다.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사(社)와 미 정부와 협력하여, 증류(蒸留)를 사용한 행위를 특정하여 대응해 왔다고는 합니다. 증류를 막는 조치도 강구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이번 중국의 딥시크의 출시를 막지 못한 것으로 보이네요.
딥시크의 생성AI 어플의 이용규약에 의하면, 이용자들의 데이터는 중국의 서버를 사용하여 관리하며, 분쟁 등이 일어난 경우는 중국의 재판소에서 해결한다는 사항을 기재하고 있습니다. 이 사항에 대해 딥시크로부터의 직접적이고 더 구체적인 코멘트(설명)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미 백악관의 캐롤라인・리비트 보도관은 1월 28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가 딥시크의 어플(앱)의 영향력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 해군은 시큐리티 리스크가 있다고 하며, 딥시크(DeepSeek) 제품의 이용을 금지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은 1월 27일 딥시크의 대두를 놓고 「우리에게의 경종(警鐘)이다」라고 말하며 강한 경계심을 드러냈습니다.
데이터 부정이용의 의혹이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미 국내에서 안전보전 상의 위협으로 간주되고 있는 중국발 동영상 공유어플「TikTok」과 마찬가지로, 딥시크도 필시 이제부터 강풍에 맞닥뜨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 중국의 생성AI(인공지능) 스타트업 DeepSeek(딥시크)가, 美 오픈AI의 「Chat(챗) GPT」 를 뛰어넘는다고 호들갑 떨면서 신(新)모델을 발표했습니다.
압도적인 저(低)코스트를 주장하는 동(同) 모델의 등장으로 AI업계의 게임의 룰이 일변(一変)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미국기업은 생성AI의 개발에 필요한 컴퓨팅 리소스, 막대한 자금, 그리고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있어, 그 확고한 지위는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 누구라도 믿고 있었지만, 이번에 그 지위가 흔들렸다는 것에 많이 놀랐습니다.
더욱이 개발 및 이용 코스트가 두자릿수나 낮은 것이 정녕 사실이라면, 생성AI를 지탱하는 기업군(企業群)의 에코시스템이 붕괴할 수도 있는 리스크가 있는 것입니다.
단, DeepSeek는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고, 비용을 자기가 부담하는 부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서 오히려 그 비용에 무엇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에 대해 냉정히 판단해 갈 필요성이 있을 것입니다.
또 한국과 일본 등에서는 생성AI의 기반은 차용(借用)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경쟁이 심화되어 낮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플러스의 영향도 있을 수는 있게 되겠지요.
√ 저(低)코스트 생성AI의 개발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중국의 DeepSeek에 사이버 시큐리티 면의 우려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에서는 타사제품과 비교하여 부정이용을 막는 장치가 불충분하고, 멜웨어(악의가 있는 프로그램)의 작성이 가능도 하다고, 따가운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
3점(点), 느껴지는 것을 이야기하자면,
첫째, 멜웨어가 만들어진다는 것은 타자와 사회에 대해서는 리스크가 되겠으나, 악용하고자 하는 위험한 이용자에게는 리스크가 아니기 때문에, 나쁜 유저의 이용은 멈추지 않게 될 것이라는 관측입니다.
둘째, 한편 허위회답을 포함한 사회리스크에의 대응을 할 수 없는 경우, 금후 운용될 EU 「AI법」 등에서 보여지듯이, 거액벌금을 포함한 역외제재(域外制裁)를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규약에 있어 「준거법(準拠法)」 과 「관할(管轄)」 은 중요합니다. 한국이나 일본의 유저가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때 실질적인 구제를 받을 수 없는 가능성이 크고, 중국법(法)에 의한 예상 외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측됩니다.
------------
ゝ 미국 정부는 국가안전보장을 이유로, 중국 인공지능(AI) 개발사 딥시크에서 개발한 생성AI인 DeepSeek(딥시크)의 이용을 금지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딥시크가 미국 빅테크들이 들이는 연구비의 10% ----연구비에 두자릿수의 차이가 남---- 정도만 투입하여 고성능 AI '알원(R1)'을 공개하자, 미국 상무부는, 딥시크가 중국 수출이 금지된 미국산 반도체를 AI 개발에 사용하는 것으로 보고, 철저한 조사에 들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미국 정부는, 자국 기업 엔비디아가 제조하는 AI 개발용 최첨단 반도체가 중국에 유입되지 않도록 수출규제를 더욱 철저히 하겠노라고 공언도 하고 있습니다.
대만도 안보문제로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한다고 2월 1일 발표했습니다.
중국의 저비용 인공지능 딥시크의 등장은 유럽 주요국을 긴장시키기도 했습니다.
이탈리아(伊)는 수집된 사용자 정보가 중국내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우려하여 딥시크 사용 차단을 밝혔고(1.30), 영국(英)과 프랑스(仏)도 내부검토를 통해 국가안보차원에서의 규제필요성을 절감했다고 말합니다.






↑ 중국발 AI 딥시크(DeepSeek)는, 미국에게는 처음에는 제2의 스푸트니크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으로 보인다.




√ 중국, 딥시크(Deep Seek) 내놓아도 중국경제 침체 멈추지 않는다
중국의 경제상태는 지금 심각합니다. 전기차, 밧데리, 반도체 등 모든 산업을 보조금을 주어 키워 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겐 25%의 새로운 관세를 매기지만, 중국에게는 모든 산업제품에 10%의 추가관세를 때리겠다고 2월 2일경 발표해 버렸습니다.
트럼프가 미친 척 확 질러버린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중국이 어기고 버티다가는 자기만 더 손해를 보게 될 것입니다. 미국이 손해볼 건 없습니다.
보조금 만을 주어 키워온 경쟁력 없는 산업 투성이이고, 전략산업을 육성해내지 못 한 중국에게는, 트럼프 정권의 관세부과가 상당히 키쿠다로우토(危くだろうと :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자국산업에 보조금을 많이 주면 WTO가 정하고 있는 국제법에 위반됩니다. 5%의 보조금만 주어도 국제정의를 해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어요.
중국 딥시크가 제2의 스푸티니크 충격을 미국에 던져주었다면서 당장은 환호성을 내지르고 있을지는 모르지만, 각국이 이용금지 조치를 확대해가고 있고, 중국경제가 안고 있는 구조상・운영상의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중국경제는 앞으로 더욱 침체되어갈 것으로 비쳐집니다.

@

728x90
반응형
'차이나 리뷰(China Review) > 벡크의 China Wat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자의 로망 -- 광야의 사나이 (중국으로부터 북간도를 되돌려 받는 길) (49) | 2023.09.04 |
---|---|
싱하이밍 사태로 폭발한 반중(反中)감정으로 탈(脱)중국의 길 '박차' / 美 국무장관 블링컨 방중(訪中)에 부쳐 (3) | 2023.06.18 |
벡크의 F스토리 - 서해피격사건에서 피살자 이대준이 한자(漢字)가 쓰인 구명 조끼를 입고 있었던 비밀이 드러났다! (2) | 2022.10.25 |
지난 추억의 이야기 -- 한국(文정권)의 대중・대일 외교의 언밸런스 (7) | 2022.09.07 |
중국 텃세,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경기. 이재명 집권하면 한국은 어찌되나(時論公論). 중국채무의 덫, 망해가는 스리랑카 백약이 무효 (0) | 2022.02.08 |